반응형

이 챕터에서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extends(상속을 통한 확장) 보다 해당 클래스를 참조하는 private 필드를 선언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챕터 내용과 비슷하게 스프링 바이블인 '토비의 스프링' 책에서도 관심사의 분리, 제어의 역전, 콜백 패턴 등을 설명할 때 계승보다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계승의 문제점

계승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구현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캡슐화 원칙을 위반한다. 즉 상위 클래스의 구현이 변경되면 하위 클래스는 기존에 구현한 코드가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계승을 하기 위해서는 상위 클래스 구현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하위 클래스가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보자.

 

java.util에서 제공하는 HashSet 클래스를 상속하여 원소가 추가될 때마다 카운팅을 하는 클래스를 아래와 같이 구현했다.

public class CountHashSet<E> extends HashSet<E> {
	private int addCount = 0;

	public CountHashSet() {

	}

	public CountHashSet(int initCap, float loadFactor) {
		super(initCap, loadFactor);
	}

	@Override
	public boolean add(E e) {
		addCount++;
		return super.add(e);
	}

	@Override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addCount += c.size();
		return super.addAll(c);
	}
}

 

심플한 클래스로 잘 동작할 것 같지만 addAll()을 호출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addAll()에서 super.addAll()은 java.util.AbstractCollection 클래스의 addAll()을 호출하는데 구현 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boolean modified = false;
        for (E e : c)
            if (add(e))
                modified = true;
        return modified;
    }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addAll()에서 다시 add()를 호출한다. 따라서 위에서 구현한 코드는 중복 계산되므로 addAll()을 호출하게 되면 항상 원소의 두 배만큼 증가한다.

 

해당 버그를 fix 하기 위해 addAll() 재정의 메서드를 제거하더라도 나중에 addAll()에서 add()를 호출하지 않으면 문제가 다시 발생한다. 다른 방법으로 super.addAll()을 호출하지 않고 직접 구현하면 된다. 하지만 상위 클래스의 동작을 위해 직접 구현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접근 불가능한 필드가 있을 경우 구현은 아예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상위 클래스에 또 다른 원소를 추가하는 메서드가 생겨나게 된다면 하위 클래스에서는 매번 릴리즈 노트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를 망가뜨릴 수 있다. 만약 HashSet에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지만 add 할 수 있는 메서드가 있다면 하위 클래스도 add를 재정의할 때 해당 조건을 추가해서 구현해야지 상위 클래스를 만족한다. 하지만 잘못된 사용자는 하위 클래스를 이용하여 해당 조건을 넣지 않아 상위 클래스를 망가뜨릴 수 있다.

 

계승보다 구성

위와 같은 계승의 문제점은 구성(필드 선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소스는 아래와 같다.

public class CountHashSetByComposit<E> {
	private int addCount = 0;
	private Set<E> s;

	public CountHashSetByComposit(Set<E> s) {
		this.s = s;
	}

	public boolean add(E e) {
		addCount++;
		return s.add(e);
	}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addCount += c.size();
		return s.addAll(c);
	}
}

 

(책에서는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달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 Wrapper 클래스로 예를 들었다.)

 

위 클래스는 어떤 Set 객체를 인자로 받아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고, 추가적인 기능은 직접 구현하였다. 계승 대신 구성을 하게 되면 사용하고자 하는 메서드에 대해서만 이해하면 되고, 해당 클래스의 API의 일부가 변경되어도 구성을 사용한 클래스를 알 필요 없다.

 

계승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사이에 IS-A 관계가 확실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IS-A 관계가 확실하다고 해도 내가 구현한 상위 클래스가 아니라면 계승보다는 구성이 낫다. 즉 계승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구현을 같은 개발자가 구현한다면 고려해도 된다. 하지만 구성을 하게 되면 하위 클래스보다 견고할 뿐 아니라, 더 강력하다.

반응형
반응형

Immutable(이하 불변) 클래스는 객체를 한 번 만들게 되면 상태(필드의 값)를 변경할 수 없는 클래스이다.

이 글에서는 불변 클래스의 구변 방법을 설명하고 특징을 설명한다.

 

불변 클래스 구현 방법

자바에서 객체 필드의 값을 변경하지 못하게 하는 final 키워드,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하게 하는 접근 제어자 등을 사용하여 불변 클래스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자바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 불변 클래스인 Integer 클래스의 소스는 아래와 같다.

package java.lang;

...

// 2. final을 사용하여 다른 클래스에서 상속하지 못하도록 한다.
public final class Integer extends Number implements Comparable<Integer> {
	...
    

    // 1. 모든 필드를 final로 선언한다.
    // 4. 모든 필드를 private로 선언한다.
    private final int value;
    
    public int intValue() {
        return value;
    }
    
 	...
    
    // 1. 값을 변경하는 메서드를 제공하지 않는다.
    // 5. 변경 가능한 객체에 대한 참조가 있다면, 외부에서는 해당 참조를 얻을 수 없도록 해야한다.
}

먼저 Integer에서 실제 값을 저장하는 value 필드는 한 번 값이 초기화되면 더 이상 수정할 수 없도록 1. final 키워드를 사용하였고, 외부에서 해당 필드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4. private로 선언하였다. 또한 만약 value를 1. 수정할 수 있는 메서드가 제공된 다면 외부에서 해당 메서드를 이용하여 수정 가능하므로 제공하지 않았다.

 

또한 규칙 13에서 설명한 내용과 비슷하게 5. 변경 가능한 객체에 대한 참조가 있다면 외부에서는 해당 참조를 얻을 수 없도록 해야 한다. 만약 아래와 같이 Array 필드인 data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getter 메서드를 제공한다면 참조 값은 변경할 수 없지만, 참조에 대한 객체는 수정이 가능하므로 불변 클래스가 깨지게 된다.

private static final Thing[] data = { ... };

 

또한 2. 클래스에 final을 선언하여 외부에서 Integer를 상속할 수 없도록 하였다. 상속을 허용한다면 하위 클래스에서는 메서드를 재정의할 수 있게 된다. 이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intValue() 메서드는 변경 불가능한 값인 value를 리턴하는 메서드인데, 하위 클래스가 악의적으로 다른 값을 반환하게 재정의 한다면 마치 변경된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잘못 작성되는 하위 클래스를 방지하기 위해 상속할 수 없도록 한다.

 

사실 상속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에는 클래스에 final로 선언하는 방법 말고 한 가지 더 유연한 방법이 있다. 바로 private나 package-private로 된 생성자만을 제공하고, 외부에는 규칙 1에서 설명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public이나 protected로 선언된 생성자가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상속을 할 수 없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객체를 생성자로 생성할 수 없으므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한다.

 

 

불변 클래스 특징

불변 클래스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해 이번엔 자바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불변 클래스인 BigInteger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소스는 다음과 같다.

package java.math;

...

public class BigInteger extends Number implements Comparable<BigInteger> {

    final int signum;
    final int[] mag;
    
    ...

    // 1. 불변 클래스의 객체는 자유롭게 공유될 수 있다.
    public static final BigInteger ZERO = new BigInteger(new int[0], 0);
    public static final BigInteger ONE = valueOf(1);

    ...
    
    public BigInteger negate() {
        // 2. 불변 클래스안에 필드들은 서로 공유 가능하다.
        return new BigInteger(this.mag, -this.signum);
    }
    
    public BigInteger flipBit(int n) {
        if (n < 0)
            throw new ArithmeticException("Negative bit address");

        int intNum = n >>> 5;
        int[] result = new int[Math.max(intLength(), intNum+2)];

        for (int i=0; i < result.length; i++)
            result[result.length-i-1] = getInt(i);

        result[result.length-intNum-1] ^= (1 << (n & 31));

        return valueOf(result);
    }
    
    private static BigInteger valueOf(int val[]) {
        // 3.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기때문에 새로운 객체를 만든다. 
        return (val[0] > 0 ? new BigInteger(val, 1) : new BigInteger(val));
    }

   ...
}

BigInteger 클래스는 불변 클래스이지만 Integer 클래스에서 설명했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먼저 필드를 private로 선언하지 않고 package-private로 선언하였다. 사실 위에서 설명한 원칙들은 다소 과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일부 완화할 수 있다. package-private도 높은 수준의 접근 제어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용 가능하다.

 

하지만 private로 선언하지 않은 것과는 다르게 BigInteger를 개발할 때 큰 실수를 하였는데, 바로 상속을 못하도록 방어하지 않았다. 불행히도 하위 호환성 때문에 이는 고쳐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구현 부분은 불변 클래스의 규칙을 따른다.

 

 

1. 불변 클래스의 객체는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불변 클래스의 객체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 공유해도 해당 객체를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BigInteger는 자주 사용되는 값(ZERO, ONE 등)을 미리 선언하여 재사용하는데, 이 필드들은 public으로 선언되어 있다. public으로 선언되면 외부에서 수정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지만 BigInteger는 불변 클래스이므로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2. 불변 클래스 안에 필드들은 서로 공유 가능하다.

불변 클래스 안에 필드들은 당연하게도 절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객체들끼리 필드를 공유하여도 변경되지 않으므로 서로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BigInteger에서 negate() 메서드는 양수이면 음수를, 음수이면 양수로 변환하여 BigInteger 객체를 생성하는 메서드이다. 이때 msg 필드는 배열이기 때문에 서로 공유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BigiInteger는 불변 클래스이기 때문에 msg 배열은 절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새로운 객체와 원래 객체가 같은 배열을 참조해도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3.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객체를 만든다.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 반환되도록 작성한다. 이는 불변 클래스의 유일한 단점인데, 만약 객체를 생성하는 비용이 크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BigInteger의 flipBit() 메서드는 특정 위치의 bit 값을 반대로 변경하는 메서드이다. 만약 BigInteger의 값이 매우 큰 값이어서 bit 배열이 엄청 크다면, 새로운 BigInteger의 값을 생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크기의 bit 배열을 하나 새롭게 만들고, 특정 위치의 bit 값을 변경해주고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bit 배열만큼의 시간과 공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외에 불변 클래스는 단순하며 스레드에 안전하다.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값이 혹시 null인지, 비정상 범위의 값인지에 대해서 객체를 생성할 때 미리 검사한다면, 클라이언트는 두려워하지 않고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은 스레드에 안전하다.

 

또한 불변 클래스는 다른 불변 클래스의 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불변 클래스를 작성할 때 기조 불변 클래스에 변경 가능성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다.    

 

 

요약

- 변경 가능한 클래스로 만들 이유가 없다면 불변 클래스로 먼저 만들어 보자.

- 변경 가능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해도, 최대한 변경 가능성을 제한하자.

 

  

 

 

 

 

 

 

 

 

반응형
반응형

규칙 13에서 객체 필드 변수는 절대로 public으로 선언하지 말고 getter와 같은 접근자 메서드를 사용하라고 설명했다.

규칙 14에서는 위 내용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객체 필드 변수를 public으로 선언하게 되면 외부에서 데이터를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캡슐화의 이점을 누릴 수 없다.

 

예를 들어 양수만 표현하는 Point 클래스를 아래와 같이 선언한다면 생성자에서는 음수를 넣을 수 없지만 정상적으로 객체 생성 후 클라이언트가 음수를 직접 세팅할 수 있다.

public class PositivePointWithPublicField {
	public double x;
	public double y;

	public PositivePointWithPublicField(double x, double y) {
		if (x < 0 || y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this.x = x;
		this.y = y;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sitivePointWithPublicField point = new PositivePointWithPublicField(0, 0);
		point.x = -5;
		point.y = -10;

	}
}

 

하지만 필드를 private로 선언하고 getter를 사용하게 되면 위를 방지할 수 있다.

public class PositivePointWithPrivateField {
	private double x;
	private double y;

	public PositivePointWithPrivateField(double x, double y) {
		if (x < 0 || y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this.x = x;
		this.y = y;
	}

	public double getX() {
		return x;
	}

	public double getY() {
		return y;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sitivePointWithPrivateField point = new PositivePointWithPrivateField(0, 0);

		// 컴파일 에러
		point.x = -5;
		point.y = -10;

	}
}

 

getter 메서드(또한 setter)는 너무나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IDE에서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이다. 뿐만 아니라 lombok과 같은 라이브러리에서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Getter
public class PositivePointWithPrivateField {
	private double x;
	private double y;

	public PositivePointWithPrivateField(double x, double y) {
		if (x < 0 || y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this.x = x;
		this.y = y;
	}

}

 

다만 Immutable 필드(final 선언)라면 초기에 한 번만 설정할 수 있으므로 public으로 선언하여도 아래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조작하지 못하므로 public으로 선언해도 된다. 하지만 굳이 이럴 바에는 getter를 사용하는 게 더 맞다. 또한 public 필드를 두게 되면 후에 호환성을 위해 항상 해당 필드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getter를 제공한다면 이미 작성된 클라이언트 코드는 깨트리지 않을 수 있다.

public class PositivePoinWithFinalField {
	public final double x;
	public final double y;

	public PositivePoinWithFinalField(double x, double y) {
		if (x < 0 || y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this.x = x;
		this.y = y;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sitivePoinWithFinalField point = new PositivePoinWithFinalField(0, 0);

		// final이서 컴파일 에러
		point.x = -5;
		point.y = -10;

	}
}

 

참고

자바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에 규칙 14를 깨트린 클래스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런 클래스는 코딩할 때 참고하지 않는 것이 좋다.

 

// java.awk.Point
public class Point extends Point2D implements java.io.Serializable {
    public int x;
    public int y;
     
    // ...
}

// java.awk.Dimension
public class Dimension extends Dimension2D implements java.io.Serializable {
    public int width;
    public int height;
    
    // ...
}
반응형
반응형

cleave.js 시간입력 폼 코드는 아래와 같다.

var cleave = new Cleave('.input-element', {
    time: true,
    timePattern: ['h', 'm', 's']
});

 

위와 같이 작성할 경우, 최대로 입력할 수 있는 시간은 23:59:59이다.

 

cleave.js 소스는 아래와 같다.

	    getTimeFormatOptions: function () {
	        var owner = this;
	        if (String(owner.timeFormat) === '12') {
	            return {
	                maxHourFirstDigit: 1,
	                maxHours: 12,
	                maxMinutesFirstDigit: 5,
	                maxMinutes: 60
	            };
	        }

	        return {
	            maxHourFirstDigit: 2,
	            maxHours: 23,
	            maxMinutesFirstDigit: 5,
	            maxMinutes: 60
	        };
	    },
        
	    getValidatedTime: function (value) {
	        var owner = this, result = '';

	        value = value.replace(/[^\d]/g, '');

	        var timeFormatOptions = owner.getTimeFormatOptions();

	        owner.blocks.forEach(function (length, index) {
	            if (value.length > 0) {
	                var sub = value.slice(0, length),
	                    sub0 = sub.slice(0, 1),
	                    rest = value.slice(length);

	                switch (owner.timePattern[index]) {

	                case 'h':
	                    if (parseInt(sub0, 10) > timeFormatOptions.maxHourFirstDigit) {
	                        sub = '0' + sub0;
	                    } else if (parseInt(sub, 10) > timeFormatOptions.maxHours) {
	                        sub = timeFormatOptions.maxHours + '';
	                    }

	                    break;

	                case 'm':
	                case 's':
	                    if (parseInt(sub0, 10) > timeFormatOptions.maxMinutesFirstDigit) {
	                        sub = '0' + sub0;
	                    } else if (parseInt(sub, 10) > timeFormatOptions.maxMinutes) {
	                        sub = timeFormatOptions.maxMinutes + '';
	                    }
	                    break;
	                }

	                result += sub;

	                // update remaining string
	                value = rest;
	            }
	        });

	        return this.getFixedTimeString(result);
	    },

 

getTimeFormatOptions 함수에서 각각 단위마다 최대 값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타이핑을 할 때마다 getValidatedTime 함수가 호출되면서 유효성을 체크한다. 따라서 이 곳을 적절하게 수정해주면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아래는 최대 입력값을 '24:00:00'으로 변경한 소스이다.

	    getTimeFormatOptions: function () {
	        var owner = this;
	        if (String(owner.timeFormat) === '12') {
	            return {
	                maxHourFirstDigit: 1,
	                maxHours: 12,
	                maxMinutesFirstDigit: 5,
	                maxMinutes: 60
	            };
	        }

	        return {
	            maxHourFirstDigit: 2,
	            maxHours: 24,
	            maxMinutesFirstDigit: 5,
	            maxMinutes: 60
	        };
	    },

	    getValidatedTime: function (value) {
	        var owner = this, result = '';

	        value = value.replace(/[^\d]/g, '');

	        var timeFormatOptions = owner.getTimeFormatOptions();

	        owner.blocks.forEach(function (length, index) {
	            if (value.length > 0) {
	                var sub = value.slice(0, length),
	                    sub0 = sub.slice(0, 1),
	                    rest = value.slice(length);

	                switch (owner.timePattern[index]) {

	                case 'h':
	                    if (parseInt(sub0, 10) > timeFormatOptions.maxHourFirstDigit) {
	                        sub = '0' + sub0;
	                    } else if (parseInt(sub, 10) > timeFormatOptions.maxHours) {
	                        sub = timeFormatOptions.maxHours + '';
	                    }

	                    break;

	                case 'm':
	                case 's':
	                    if (parseInt(sub0, 10) > timeFormatOptions.maxMinutesFirstDigit) {
	                        sub = '0' + sub0;
	                    } else if (parseInt(sub, 10) > timeFormatOptions.maxMinutes) {
	                        sub = timeFormatOptions.maxMinutes + '';
	                    }
	                    break;
	                }
                    
                    if(result.slice(0,2) == '24'){
                        if(sub.length == '1'){
                            sub = '0';
                        } else if(sub.length == '2'){
                            sub = '00';
                        }
                       
                    }

	                result += sub;

	                // update remaining string
	                value = rest;
	            }
	        });

	        return this.getFixedTimeString(result);
	    },
반응형

'프론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2ui] grid 정렬 모드 (sortMode)  (0) 2022.01.06
반응형

규칙 13에서는 소프트웨어 설계의 기본적인 원칙 가운데 하나인 캡슐화에 관해서 설명한다.

 

캡슐화는 다른 모듈 간 커플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현 세부사항을 전부 API 뒤쪽에 숨긴다. 그리고 모듈들은 이 API를 통해서만 서로를 호출한다. 디커플링을 하게 되면 서로 간에 의존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한쪽이 변경되어도 다른 모듈에 영향을 끼칠 걱정이 없다. 또한 다른 개발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바는 이런 장점을 사용하기 위해 캡슐화를 지원하며 그중 대표적으로 접근 제어(Access Control) 기능을 제공한다.

 

원칙은 단순하다. 가능한 한 다른 곳에서 접근 불가능하도록 만들어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API만 public 또는 protected로 하라.

 

 

1.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에 public을 붙이지 않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

public으로 한번 릴리스한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는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계속 제공해야 한다. (대부분 지키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자바에서는 Enum에 특화된 Set을 제공하는 EnumSet을 제공하는데, EnumSet을 public으로 제공하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정적 팩토리 메서드가 제공하는 객체는 RegularEnumSet, JumboEnumSet이 있는데 이 둘은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package private 접근 제어자를 사용한다. 즉 jdk 개발자는 RegularEnumSet 클래스를 변경하던, 삭제하던 호환성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다. 

// EnumSet은 public으로 추상 클래스 제공
public abstract class EnumSet<E extends Enum<E>> extends AbstractSet<E>
    implements Cloneable, java.io.Serializable
{
	...
    public static <E extends Enum<E>> EnumSet<E> noneOf(Class<E> elementType) {
        Enum<?>[] universe = getUniverse(elementType);
        if (universe == null)
            throw new ClassCastException(elementType + " not an enum");

        if (universe.length <= 64)
            return new RegularEnumSet<>(elementType, universe);
        else
            return new JumboEnumSet<>(elementType, universe);
    }
	...
}

// package private
class RegularEnumSet<E extends Enum<E>> extends EnumSet<E> {
	...
}

 

2. 클래스의 멤버 변수들은 최대한 package-private까지만 지원하자. protected도 광범위하다.

객체 필드변수는 절대로 public으로 선언하면 안 된다. 필드를 public으로 선언하면 필드에 저장될 값을 제한할 수 없게 되어 그 필드에 관계된 불변식을 강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getter와같은 접근자 메서드를 사용하는 게 좋다.

 

단, 상수는 public static final로 선언될 수 있다. 아래는 BigDeimal의 상수 예시이다.

    // Cache of common small BigDecimal values.
    private static final BigDecimal ZERO_THROUGH_TEN[] = {
        new BigDecimal(BigInteger.ZERO,       0,  0, 1),
        new BigDecimal(BigInteger.ONE,        1,  0, 1),
        new BigDecimal(BigInteger.TWO,        2,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3), 3,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4), 4,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5), 5,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6), 6,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7), 7,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8), 8,  0, 1),
        new BigDecimal(BigInteger.valueOf(9), 9,  0, 1),
        new BigDecimal(BigInteger.TEN,        10, 0, 2),
    };

	public static final BigDecimal ZERO = zeroThroughTen[0];
	public static final BigDecimal ONE = zeroThroughTen[1];
	public static final BigDecimal TEN = zeroThroughTen[10];

 

하지만 상수라도 기본 자료형 값들을 갖거나, 변경 불가능 객체를 참조하게 해야 한다.

public static final Thing[] VALUES = { ... };

위 코드와 같이 길이가 0이 아닌 배열 상수 필드는 배열 레퍼런스는 변경하지 못하지만 배열 레퍼런스 안에 존재하는 값은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public static final 배열 필드를 두거나, 배열 필드를 반환하는 접근자를 정의하면 안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에게는 배열 필드의 상수 값을 복사해서 넘겨주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

방법 1.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NMODIFY_NUM_LIST = { "1", "2", "3", "4" };
	public static final List<String> NUM_LIST_2 = Collections.unmodifiableList(Arrays.asList(UNMODIFY_NUM_LIST));

방법 2.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LONE_NUM_LISE = { "1", "2", "3", "4" };
	public static final String[] NUM_LIST_3() {
		return CLONE_NUM_LISE.clone();
	}

 

3. 클래스의 메서드도 최대한 접근 권한을 줄이자.

클래스의 메서드도 최대한 접근 권한을 줄여야 한다. 하지만 접근 권한을 줄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위 클래스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할 때는 원래 메서드의 접근 권한보다 낮은 권한을 설정할 수 없다.

 

 

결론은 접근 권한은 가능한 낮춰라.

 

반응형
반응형

최상위 객체인 Object에 선언되어 있는 메서드는 아니지만 자주 사용되는 compareTo 메서드에 대해 설명한다.

 

int java.lang.String.compareTo(String anotherString)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값 클래스(value class)는 compareTo 메서드가 구현되어 있으며 또한 String 클래스에도 compareTo가 구현되어 있다. String.compareTo 메서드는 문자열을 비교하여 같으면 0을, 사전순으로 작으면 음수를, 사전순으로 크면 양수를 리턴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1 = "apple";

		System.out.println(str1.compareTo("banana")); // -1
		System.out.println(str1.compareTo("apple")); // 0
		System.out.println(str1.compareTo("abc")); // 14
	}

 

String.compareTo 메서드의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int compareTo(String anotherString) {
        int len1 = value.length;
        int len2 = anotherString.value.length;
        int lim = Math.min(len1, len2);
        char v1[] = value;
        char v2[] = anotherString.value;

        int k = 0;
        while (k < lim) {
            char c1 = v1[k];
            char c2 = v2[k];
            if (c1 != c2) {
                return c1 - c2;
            }
            k++;
        }
        return len1 - len2;
    }

1. 문자를 하나씩 비교하여 다를 경우 차를 구해 바로 리턴한다.

2. 길이가 작은 문자열의 길이 만큼 비교하여도 같다면 문자열의 길이가 작은게 사전순으로 더 앞에 있다고 판단하고 차를 구해 리턴한다.

 

이렇게 compareTo 메서드는 해당 클래스 객체들의 자연적 순서를 비교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다들 알겠지만 compareTo는 일반적인 메서드가 아닌 Comparable 인터페이스에 정의되어 있는 유일한 메서드이다.

 

Comparable 인터페이스

Comparable 인터페이스는 클래스 객체에 순서를 정의하도록 한다. 이 순서를 클래스의 자연 순서라고 하며 클래스의 compareTo 메소드는 자연 순서를 계산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그래서 위와 같이 String 클래스는 Compare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고, 자연 순서를 계산할 수 있도록 compareTo 메서드를 구현한 것이다.

public final class String implements java.io.Serializable, Comparable<String>, CharSequence {
	...
}

 

규칙9에서 설명했던 hashCode는 규약을 따르지 않으면 hashCode를 사용하는 자바 API(ex : HashMap) 동작에 문제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Comparable의 compareTo 메서드를 사용하는 자바 API도 여러 개 존재하는데 compareTo 규약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API를 오동작시킬 수 있다. 아래는 compareTo를 사용하는 API의 예시이다.

 

- void java.util.Arrays.sort(Object[] a)

	public static void arraySort() {
		String arr[] = { "banana", "apple", "google", "aws" };

		Arrays.sort(arr);
		System.out.printf("%s\n", Arrays.toString(arr)); // [apple, aws, banana, google]

		Arrays.sort(arr, Collections.reverseOrder());

		System.out.printf("%s\n", Arrays.toString(arr)); // [google, banana, aws, apple]
	}

 

- java.util.TreeSet<E>

	public static void treeSet() {
		String arr[] = { "banana", "apple", "google", "aws" };

		Set<String> s = new TreeSet<String>();
		s.addAll(Arrays.asList(arr));

		System.out.println(s); // [apple, aws, banana, google]
	}

 

그렇다면 이제 compareTo를 잘 구현해야한다. 규약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 Symmetry(대칭성)

X가 Y보다 크다면 Y는 X보다 작아야 한다. 반대로 X가 Y보다 작다면 Y는 X보다 커야 한다. 또한 X가 Y랑 같다면 Y도 X랑 같아야 한다.

 

- Transitivity(추이성)

X가 Y보다 크고, Y가 Z보다 크다면 X는 Z보다 커야한다.

 

- Consistent(일관성)

X와 Y가 같다면 X와 Z와의 비교 결과와 Y와 Z의 비교 결과는 항상 같다.

 

(이펙티브 자바 책에서는 위 순서를 반사성, 대칭성, 추이성이라고 표현하지만, 필자는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 (강력히 추천하지만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닌) X와 Y의 compareTo의 결과가 0이라면 equlas의 결과는 true여야 한다.

네번째 규약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지키는게 좋다. 자바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컬렉션 구현체들은 마지막 규약이 지켜졌다고 생각하고 동작한다. 만약 규약을 지키지 않으면 엄청난 재앙을 가져오진 않지만, 그래도 약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네번째 규약을 지키지 않은 대표적인 클래스가 있는데 예시는 아래와 같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igDecimal a = new BigDecimal("1.0");
		BigDecimal b = new BigDecimal("1.00");

		System.out.println(a.equals(b)); // false
		System.out.println(a.compareTo(b)); // 0
		System.out.println((a.compareTo(b) == 0) == a.equals(b)); // false

		Set<BigDecimal> hashSet = new HashSet<BigDecimal>();
		hashSet.add(a);
		hashSet.add(b);

		System.out.println(hashSet.size()); // 2

		Set<BigDecimal> treeSet = new TreeSet<BigDecimal>();
		treeSet.add(a);
		treeSet.add(b);

		System.out.println(treeSet.size()); // 1
	}

BigDecimal은 소수점까지 모두 동일해야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compare는 크기를 비교하므로 0을 리턴한다. 따라서 네번 째 규약을 지키지 않는 클래스이다. 이렇기 때문에 equals(hashCode)로 동일성을 판단하는 HashSet에서는 두 원소를 넣어도 다르다고 판단하여 두 개의 객체가 존재한다. 하지만 TreeSet은 compareTo로 비교하기 때문에 두 객체는 동일하다고 판단하여 하나의 객체만 존재하게 된다.

 

근데 만약 이미 구현되어 있는 클래스의 compareTo 순서 비교 방식이 아닌 새로운 순서 비교 방식을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 경우 Compar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사용하면 된다.

 

Comparator 인터페이스

일반적으로 Comparable.compareTo를 사용하는 메서드는 Comparator의 compare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있다. (ex : Collections.sort 또는 Arrays.sort) 따라서 미리 구현되어 있는 compareTo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순서를 지정하고 싶다면 Comparator를 구현하면 된다.

 

아래는 예시이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rr[] = { "banana", "apple", "google", "aws" };

		Arrays.sort(arr, new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o1, String o2) {
				return o2.compareTo(o1); // o1을 o2와 비교한 것이 아닌 o2를 o1과 비교
			}
		});

		System.out.printf("%s\n", Arrays.toString(arr)); // [google, banana, aws, apple]

	}

 

Arrays.sort에 새롭게 구현한 Comparator 구현체를 사용하였다. 자세히 보면 기존 o1.compareTo(o2)가 아닌 o2.compareTo(o1)을 사용하여 사전순이 아닌 역사전순으로 비교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자신이 원하는 순서를 다시 재정의할 수 있는데, 자바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비교 방식의 Comparator를 미리 제공한다. 위에 예시였던 arraySort() 메서드에서 보면 Collections.reverseOrder()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우리가 지금 구현한 Comparator와 동일하게 구현되어 있는 구현체이다. 이 외에도 String 클래스에서는 대소문자를 무시하여 비교하는 구현체를 제공한다. 아래는 해당 소스이다.

    public static final Comparator<String> CASE_INSENSITIVE_ORDER
                                         = new CaseInsensitiveComparator();
    private static class CaseInsensitiveComparator
            implements Comparator<String>, java.io.Serializable {
        // use serialVersionUID from JDK 1.2.2 for interoperability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8575799808933029326L;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int n1 = s1.length();
            int n2 = s2.length();
            int min = Math.min(n1, n2);
            for (int i = 0; i < min; i++) {
                char c1 = s1.charAt(i);
                char c2 = s2.charAt(i);
                if (c1 != c2) {
                    c1 = Character.toUpperCase(c1);
                    c2 = Character.toUpperCase(c2);
                    if (c1 != c2) {
                        c1 = Character.toLowerCase(c1);
                        c2 = Character.toLowerCase(c2);
                        if (c1 != c2) {
                            // No overflow because of numeric promotion
                            return c1 - c2;
                        }
                    }
                }
            }
            return n1 - n2;
        }

        /** Replaces the de-serialized object. */
        private Object readResolve() { return CASE_INSENSITIVE_ORDER; }
    }

 

반응형
반응형
column = {

   ...,
   sortMode : natural
}

default : 문자열로 정렬


natural : 사람에게 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방식으로 정렬한다. (ex : IP 정렬, 숫자 정렬 등)


i18n : 발음 구별 부호를 고려하여 정렬한다. 

반응형

'프론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eave.js] time 최대 값 변경하기 (23:59:59 -> 24:00:00)  (0) 2022.02.21
반응형

이 포스팅은 토비의 스프링 3.1을 읽고 글쓴이가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 포스팅의 대상은 토비의 스프링을 읽어보신 분들이 한 번쯤 다시 기억을 상기시키고자 하는 분들입니다. 

글쓴이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합니다. 또한 소스코드도 생략이 많으니 유의해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1장에서 봤던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인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같이 템플릿이란 코드 중에서 변경이 자주 일어나는 부분과 코드를 독립시켜 변경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부분을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을 칭한다.

 

3.1 다시 보는 초난감 DAO

 

우리는 DAO에서 1. 커넥션을 얻고, 2. PreparedStatement로 쿼리를 수행하고 3. 리소스를 회수했다.

public void deleteAll() throws SQL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
		// 1. 커넥션 얻기
		Connection c = dataSource.getConnection();

		// 2. 쿼리 수행
		PreparedStatement ps = c.prepareStatement("delete from users");
		ps.executeUpdate();

		// 3. 리소스 회수
		ps.close();
		c.close();
	}

그런데 왜 리소스를 회수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DB를 사용할 때 커넥션을 매번 생성하지 않는다. 만약 DB 요청이 많은 상황에서 DB 연결을 위한 커넥션을 매번 생성한다면 다른 작업도 수행해야 하는데 커넥션도 계속 생성해야 하므로 더욱 악순환만 반복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구니와 같은 풀(Pool) 안에 커넥션을 미리 만들어 두고, 요청이 들어올 때 풀에서 꺼내 해당 커넥션을 사용하도록 한다. 풀 방식을 사용하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미리 만들어 둔 커넥션을 사용하게 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작업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풀 안에 더 이상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없다면 나머지 요청은 대기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아무도 풀에서 가지고 간 커넥션을 반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더 이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고 결국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작업을 완료했다면 리소스를 풀로 반드시 돌려줘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3. 리소스 회수를 수행했던 것이다.

 

하지만 위 코드에서 3. 리소스 회수가 수행되지 못할 수가 있다. 3. 리소스 회수 전에 있는 코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메서드 실행을 끝마치지 못하고 메서드를 빠져나가게 되므로 리소스를 반환하지 못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JDBC 코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try/catch/finally 코드로 작성한다.

public void deleteAll()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 = null;
		PreparedStatement ps = null;

		try {
			// 1. 커넥션 얻기
			c = dataSource.getConnection();
			
			// 2. 쿼리 수행
			ps = c.prepareStatement("delete from users");
			ps.executeUpdate();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e;
		} finally {
			// 3. 리소스 회수
			try {
				if (ps != null) {
					ps.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

			try {
				if (c != null) {
					c.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
		}
	}

finally는 정상 수행하든 예외가 발생하든 반드시 수행되므로 해당 블록에서 리소스 반환을 하면 된다.

예외가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냐에 따라 ps와 c가 null이 될 수 있다. 따라서 NPE를 방지하기 위해 null 체크를 해준다.

 

close() 메서드도 예외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을 때 문제점은 무엇일까?

public void deleteAll() throws SQLException {
		...

		} finally {
			if (ps != null) {
				ps.close();
			}

			if (c != null) {
				c.close();
			}
			
		}
	}

ps.close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면 c.close()가 호출되지 않고 끝나게 된다. 따라서 c의 리소스는 반환하지 않은 채로 남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close() 메서드도 try/catch로 묶어서 예외가 발생해도 아래 코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봤던 delete 코드는 리소스를 Connection과 PreparedStatement를 사용하여 반환하였다. 데이터를 조회하는 코드는 두 리소스뿐만 아니라 ResultSet 리소스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리소스도 반환해줘야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단건을 조회하는 기존 코드는 다음과 같다.

public User get(String id)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 = dataSource.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ps = c.prepareStatement("select * from users where id = ?");
		ps.setString(1, id);

		ResultSet rs = ps.executeQuery();
		rs.next();

		User user = new User();
		user.setId(rs.getString("id"));
		user.setName(rs.getString("name"));
		user.setPassword(rs.getString("password"));

		rs.close();
		ps.close();
		c.close();

		return user;
	}

이제 이 코드도 try/catch/finally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public User get(String id)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 = null;
		PreparedStatement ps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 = dataSource.getConnection();

			ps = c.prepareStatement("select * from users where id = ?");
			ps.setString(1, id);

			rs = ps.executeQuery();
			rs.next();

			User user = new User();
			user.setId(rs.getString("id"));
			user.setName(rs.getString("name"));
			user.setPassword(rs.getString("password"));

			return user;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e;
		} finally {
			try {
				if (rs != null) {
					rs.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

			try {
				if (ps != null) {
					ps.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

			try {
				if (c != null) {
					c.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
		}

	}

완벽하게 동작하는 JDBC 코드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코드가 좀 그렇지 않은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