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재료를 선택하는 요리사의 지혜

요리를 할 때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듯, 프로그래밍에서도 자료 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 우리는 두 가지 주요 재료, 즉 '배열'과 '리스트'를 비교하며, 왜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종종 더 나은 선택인지에 대해 탐색해볼 것입니다. 마치 요리사가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최적의 요리를 만들어내듯, 우리도 각 자료 구조의 특성을 이해하여 더 나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본론: 배열과 리스트, 선택의 기준은?

1. 타입 안전성과 유연성

  • 배열은 공변(covariant)입니다. 예를 들어, String[]은 Object[]의 하위 타입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배열을 사용할 때는 타입 불일치로 인한 런타임 오류의 위험이 있습니다.
  • 리스트는 불공변(invariant)입니다. List<String>은 List<Object>의 하위 타입이 아닙니다. 이는 컴파일 시점에서 타입 안전성을 제공하며, 잠재적인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크기의 유연성

  • 배열은 크기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한 번 생성되면, 그 크기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는 데이터의 양이 변동될 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리스트는 크기가 동적입니다.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면서 크기가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이는 데이터 관리를 훨씬 더 유연하게 만들어 줍니다.

3. 기능성과 편의성

  • 배열은 기본 기능만 제공합니다. 배열을 사용할 때는 길이를 알아내거나, 특정 인덱스의 요소에 접근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는 추가적인 기능을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
  • 리스트는 다양한 유틸리티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add, remove, contains와 같은 메서드는 데이터를 다루는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또한, Collections 클래스는 리스트를 정렬하거나 검색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유틸리티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결론: 요리사가 최적의 재료를 선택하듯

배열과 리스트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프로그래머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배열은 그 간단함과 성능으로 특정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지만, 타입 안전성, 크기의 유연성, 그리고 편의성 측면에서 리스트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더 나은 코드 작성을 위해서는 '리스트 사용하기'가 훌륭한 조언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 요리사가 각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최적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처럼, 우리도 각 상황에 맞는 최적의 자료 구조를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서론: 경고 신호에 주목하라

여러분이 차를 운전하고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갑자기 대시보드에 경고등이 켜집니다. 이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고등을 무시하고 계속 운전하지 않을 거예요. 차량의 안전과 성능을 위해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할 필요가 있죠.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자바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컴파일러가 경고를 발생시킬 때, 그것은 우리에게 뭔가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비검사 경고를 제거하라"는 이 경고들에 주목하고 해결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렇다면 왜 이 경고들이 중요한 걸까요?

 

본론: 비검사 경고의 의미와 해결법

1. 비검사 경고란 무엇인가?

비검사 경고는 주로 제네릭스를 사용할 때 발생합니다. 컴파일러가 타입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을 때, 예를 들어 제네릭 타입을 명시하지 않고 사용할 때 이런 경고가 발생합니다. 비검사 경고는 런타임에 ClassCastException과 같은 오류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알려줍니다.

2. 경고의 중요성

비검사 경고를 무시하면, 프로그램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개발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는 버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런 버그는 나중에 찾아내고 수정하기 훨씬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경고 제거하기

  • 경고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제네릭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List 대신 List<String>을 사용해 명시적으로 타입을 선언해줌으로써 타입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경고를 피할 수 없는 경우, 그리고 그것이 안전하다고 확신하는 경우에는 @SuppressWarnings("uncheck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경고를 숨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어노테이션은 가능한 최소한으로, 그리고 그 사용 사유를 주석으로 남기면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결론: 안전한 코드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비검사 경고를 제거하는 것은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컴파일러의 경고를 무시하는 것은 잠재적인 문제를 무시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고에 주목하고 해결하여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마치 운전 중 대시보드의 경고등에 주목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밍에서도 비검사 경고에 주목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더 나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서론: 위험한 숲 속의 금지된 과일

상상해 보세요. 마법의 숲에 금지된 과일이 있는데, 이 과일을 먹으면 순간적으로 힘이 솟구치지만, 이내 큰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의 세계에서도 비슷한 금지된 과일이 있어요. 바로 '로 타입(raw types)'입니다. 이번 모험에서는 왜 로 타입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지, 그리고 그 대안은 무엇인지 함께 탐험해 보겠습니다.

 

본론: 로 타입의 유혹과 그 위험성

1. 로 타입이란 무엇인가?

자바에서 제네릭스(Generics)가 도입되기 전, 모든 컬렉션은 로 타입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List는 어떤 타입의 객체든지 저장할 수 있었죠. 제네릭스의 도입으로 List<String> 또는 List<Integer>와 같이 저장될 객체의 타입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로 타입을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됩니다.

2. 로 타입의 위험성

  • 타입 안정성 부족: 로 타입을 사용하면 컴파일 타임에 타입 체크를 할 수 없어, 런타임에 ClassCastException과 같은 예외가 발생할 위험이 커집니다.
  • 코드 읽기 어려움: 제네릭스를 사용하면 코드를 읽고 이해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로 타입을 사용하면 어떤 타입의 객체가 저장되는지 바로 알 수 없어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 API 사용의 제한: 제네릭 타입으로 작성된 메서드는 로 타입으로는 제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API 사용에 제한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안전한 대안, 제네릭스 사용하기

  • 타입 안정성 보장: 제네릭을 사용하면 컴파일 타임에 타입 체크를 할 수 있어, 런타임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 코드 가독성 향상: 제네릭스를 사용하면 저장되는 객체의 타입을 명확히 할 수 있어, 코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제네릭 메서드와 클래스를 사용하면, 다양한 타입에 대해 유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금지된 과일을 피하고, 안전한 길을 선택하자

로 타입을 사용하는 것은 마치 숲속의 금지된 과일을 먹는 것과 같습니다. 잠시 편리할 수 있지만, 결국엔 큰 대가를 치를 수 있어요. 반면, 제네릭스를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고 명확한 길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코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가독성을 높이며,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집니다. 프로그래밍의 숲에서 금지된 과일인 로 타입을 멀리하고, 제네릭스라는 안전한 길을 선택해보세요. 여러분의 코드 여행이 더욱 즐겁고 안전해질 거예요.

반응형
반응형

디자인 패턴 중 일반적으로 가장 처음에 배우는 전략 패턴을 자바로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전략 패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자열 비교를 해주는 Util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public class StringCompareUtil {

	/**
	 * 일반 문자열 비교
	 */
	public stat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compareTo(s2);
	}

	/**
	 * 문자열 길이를 이용한 비교
	 */
	public static int compareLength(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length() - s2.length();
	}

}

 

만약 새로운 문자열 비교 기능이 필요하다면 위 클래스를 수정해야 한다.  OCP를 위반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클래스를 변경해보자.

public interface Comparator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public class NormalStringCompare implements Comparator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compareTo(s2);
	}

}

public class LengthStringCompare implements Comparator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length() - s2.length();
	}

}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였고 각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각각 구현하였다. 이런 식으로 작성한다면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어떠한 구현체여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문자열만 비교하는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기에 아쉽기 때문에 제네릭을 추가하자.

public interface Comparator<T> {
	public int compare(T s1, T s2);

}


public class NormalStringCompare implements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compareTo(s2);
	}

}

public class LengthStringCompare implements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length() - s2.length();
	}

}

 

새로운 비교 기능을 위해 클래스를 새롭게 구현해도 되지만,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클래스의 개수가 계속 늘어나게 된다. 만약 해당 비교 기능을 특정한 클라이언트 구현체에서만 사용한다면 익명 클래스를 이용해서 해당 위치에서 작성해주자.

		new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 TODO
			}
		};

 

위와 같이 익명 클래스를 생성하면 해당 위치에서 새로운 객체가 계속 만들어지므로 해당 익명 클래스를 객체로 갖는 private static final 필드에 저장하고 재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자.

 

여기까지 책에 대한 설명이다. 참고로 블로그 저자는 2판을 보고 작성하고 있는데, 3판에서는 람다에 대한 챕터로 해당 내용을 새롭게 구성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제 익명 클래스 대신에 람다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람다에 대한 설명은 다른 블로그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반응형
반응형

이 챕터는 자바를 처음 배울 때 계층형(추상)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다. 그만큼 내용이 어렵지 않으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1. 태그 클래스란?

태그 클래스란 특정한 변수를 기준으로 분기하여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의미한다.

public class Figure {
	enum Shape {
		RECTANGLE, CIRCLE
	};

	final Shape shape;

	double length;
	double width;

	double redius;

	Figure(double length, double width) {
		this.shape = Shape.RECTANGLE;
		this.length = length;
		this.width = width;
	}

	Figure(double redius) {
		this.shape = Shape.CIRCLE;
		this.redius = redius;
	}

	double area() {
		switch (shape) {
		case RECTANGLE:
			return length * width;
		case CIRCLE:
			return Math.PI * (redius * redius);
		default:
			throw new AssertionError();
		}
	}
}

 

A 기능을 위한 생성자와 인스턴스 필드들이 존재하며, B 기능을 위한 생성자와 인스턴스 필드들이 각각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가독성이 떨어진다.

2. 필요 없는 기능을 위한 필드도 함께 생성되므로 메모리 요구량이 늘어난다.

3. 또 다른 기능이 생긴다면 해당 클래스를 수정해야 하며, swtich문도 모두 수정해야 한다.

 

2. 해결 방안

공통 기능은 추상(abstract) 클래스로 옮기고 서로 다른 기능은 하위 클래스로 구현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전에 작성한 글로 대신한다.

 

[JAVA] Constant Interface : 상수를 정의한 인터페이스

 

[JAVA] Constant Interface : 상수를 정의한 인터페이스

이전 블로그에서 2017년 7월 20일에 작성한 글 프로젝트 소스를 보다가 상수(Constant)를 인터페이스(Interface)에 정의한 것을 발견했다. 학교 수업과 책으로 자바를 배웠을 때, 항상 상수는 클래스에

camel-context.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이 챕터에서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extends(상속을 통한 확장) 보다 해당 클래스를 참조하는 private 필드를 선언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챕터 내용과 비슷하게 스프링 바이블인 '토비의 스프링' 책에서도 관심사의 분리, 제어의 역전, 콜백 패턴 등을 설명할 때 계승보다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계승의 문제점

계승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구현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캡슐화 원칙을 위반한다. 즉 상위 클래스의 구현이 변경되면 하위 클래스는 기존에 구현한 코드가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계승을 하기 위해서는 상위 클래스 구현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하위 클래스가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보자.

 

java.util에서 제공하는 HashSet 클래스를 상속하여 원소가 추가될 때마다 카운팅을 하는 클래스를 아래와 같이 구현했다.

public class CountHashSet<E> extends HashSet<E> {
	private int addCount = 0;

	public CountHashSet() {

	}

	public CountHashSet(int initCap, float loadFactor) {
		super(initCap, loadFactor);
	}

	@Override
	public boolean add(E e) {
		addCount++;
		return super.add(e);
	}

	@Override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addCount += c.size();
		return super.addAll(c);
	}
}

 

심플한 클래스로 잘 동작할 것 같지만 addAll()을 호출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addAll()에서 super.addAll()은 java.util.AbstractCollection 클래스의 addAll()을 호출하는데 구현 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boolean modified = false;
        for (E e : c)
            if (add(e))
                modified = true;
        return modified;
    }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addAll()에서 다시 add()를 호출한다. 따라서 위에서 구현한 코드는 중복 계산되므로 addAll()을 호출하게 되면 항상 원소의 두 배만큼 증가한다.

 

해당 버그를 fix 하기 위해 addAll() 재정의 메서드를 제거하더라도 나중에 addAll()에서 add()를 호출하지 않으면 문제가 다시 발생한다. 다른 방법으로 super.addAll()을 호출하지 않고 직접 구현하면 된다. 하지만 상위 클래스의 동작을 위해 직접 구현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접근 불가능한 필드가 있을 경우 구현은 아예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상위 클래스에 또 다른 원소를 추가하는 메서드가 생겨나게 된다면 하위 클래스에서는 매번 릴리즈 노트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를 망가뜨릴 수 있다. 만약 HashSet에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지만 add 할 수 있는 메서드가 있다면 하위 클래스도 add를 재정의할 때 해당 조건을 추가해서 구현해야지 상위 클래스를 만족한다. 하지만 잘못된 사용자는 하위 클래스를 이용하여 해당 조건을 넣지 않아 상위 클래스를 망가뜨릴 수 있다.

 

계승보다 구성

위와 같은 계승의 문제점은 구성(필드 선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소스는 아래와 같다.

public class CountHashSetByComposit<E> {
	private int addCount = 0;
	private Set<E> s;

	public CountHashSetByComposit(Set<E> s) {
		this.s = s;
	}

	public boolean add(E e) {
		addCount++;
		return s.add(e);
	}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addCount += c.size();
		return s.addAll(c);
	}
}

 

(책에서는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달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 Wrapper 클래스로 예를 들었다.)

 

위 클래스는 어떤 Set 객체를 인자로 받아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고, 추가적인 기능은 직접 구현하였다. 계승 대신 구성을 하게 되면 사용하고자 하는 메서드에 대해서만 이해하면 되고, 해당 클래스의 API의 일부가 변경되어도 구성을 사용한 클래스를 알 필요 없다.

 

계승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사이에 IS-A 관계가 확실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IS-A 관계가 확실하다고 해도 내가 구현한 상위 클래스가 아니라면 계승보다는 구성이 낫다. 즉 계승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구현을 같은 개발자가 구현한다면 고려해도 된다. 하지만 구성을 하게 되면 하위 클래스보다 견고할 뿐 아니라, 더 강력하다.

반응형
반응형

Immutable(이하 불변) 클래스는 객체를 한 번 만들게 되면 상태(필드의 값)를 변경할 수 없는 클래스이다.

이 글에서는 불변 클래스의 구변 방법을 설명하고 특징을 설명한다.

 

불변 클래스 구현 방법

자바에서 객체 필드의 값을 변경하지 못하게 하는 final 키워드,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하게 하는 접근 제어자 등을 사용하여 불변 클래스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자바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 불변 클래스인 Integer 클래스의 소스는 아래와 같다.

package java.lang;

...

// 2. final을 사용하여 다른 클래스에서 상속하지 못하도록 한다.
public final class Integer extends Number implements Comparable<Integer> {
	...
    

    // 1. 모든 필드를 final로 선언한다.
    // 4. 모든 필드를 private로 선언한다.
    private final int value;
    
    public int intValue() {
        return value;
    }
    
 	...
    
    // 1. 값을 변경하는 메서드를 제공하지 않는다.
    // 5. 변경 가능한 객체에 대한 참조가 있다면, 외부에서는 해당 참조를 얻을 수 없도록 해야한다.
}

먼저 Integer에서 실제 값을 저장하는 value 필드는 한 번 값이 초기화되면 더 이상 수정할 수 없도록 1. final 키워드를 사용하였고, 외부에서 해당 필드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4. private로 선언하였다. 또한 만약 value를 1. 수정할 수 있는 메서드가 제공된 다면 외부에서 해당 메서드를 이용하여 수정 가능하므로 제공하지 않았다.

 

또한 규칙 13에서 설명한 내용과 비슷하게 5. 변경 가능한 객체에 대한 참조가 있다면 외부에서는 해당 참조를 얻을 수 없도록 해야 한다. 만약 아래와 같이 Array 필드인 data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getter 메서드를 제공한다면 참조 값은 변경할 수 없지만, 참조에 대한 객체는 수정이 가능하므로 불변 클래스가 깨지게 된다.

private static final Thing[] data = { ... };

 

또한 2. 클래스에 final을 선언하여 외부에서 Integer를 상속할 수 없도록 하였다. 상속을 허용한다면 하위 클래스에서는 메서드를 재정의할 수 있게 된다. 이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intValue() 메서드는 변경 불가능한 값인 value를 리턴하는 메서드인데, 하위 클래스가 악의적으로 다른 값을 반환하게 재정의 한다면 마치 변경된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잘못 작성되는 하위 클래스를 방지하기 위해 상속할 수 없도록 한다.

 

사실 상속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에는 클래스에 final로 선언하는 방법 말고 한 가지 더 유연한 방법이 있다. 바로 private나 package-private로 된 생성자만을 제공하고, 외부에는 규칙 1에서 설명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public이나 protected로 선언된 생성자가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상속을 할 수 없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객체를 생성자로 생성할 수 없으므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한다.

 

 

불변 클래스 특징

불변 클래스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해 이번엔 자바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불변 클래스인 BigInteger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소스는 다음과 같다.

package java.math;

...

public class BigInteger extends Number implements Comparable<BigInteger> {

    final int signum;
    final int[] mag;
    
    ...

    // 1. 불변 클래스의 객체는 자유롭게 공유될 수 있다.
    public static final BigInteger ZERO = new BigInteger(new int[0], 0);
    public static final BigInteger ONE = valueOf(1);

    ...
    
    public BigInteger negate() {
        // 2. 불변 클래스안에 필드들은 서로 공유 가능하다.
        return new BigInteger(this.mag, -this.signum);
    }
    
    public BigInteger flipBit(int n) {
        if (n < 0)
            throw new ArithmeticException("Negative bit address");

        int intNum = n >>> 5;
        int[] result = new int[Math.max(intLength(), intNum+2)];

        for (int i=0; i < result.length; i++)
            result[result.length-i-1] = getInt(i);

        result[result.length-intNum-1] ^= (1 << (n & 31));

        return valueOf(result);
    }
    
    private static BigInteger valueOf(int val[]) {
        // 3.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기때문에 새로운 객체를 만든다. 
        return (val[0] > 0 ? new BigInteger(val, 1) : new BigInteger(val));
    }

   ...
}

BigInteger 클래스는 불변 클래스이지만 Integer 클래스에서 설명했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먼저 필드를 private로 선언하지 않고 package-private로 선언하였다. 사실 위에서 설명한 원칙들은 다소 과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일부 완화할 수 있다. package-private도 높은 수준의 접근 제어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용 가능하다.

 

하지만 private로 선언하지 않은 것과는 다르게 BigInteger를 개발할 때 큰 실수를 하였는데, 바로 상속을 못하도록 방어하지 않았다. 불행히도 하위 호환성 때문에 이는 고쳐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구현 부분은 불변 클래스의 규칙을 따른다.

 

 

1. 불변 클래스의 객체는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불변 클래스의 객체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 공유해도 해당 객체를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BigInteger는 자주 사용되는 값(ZERO, ONE 등)을 미리 선언하여 재사용하는데, 이 필드들은 public으로 선언되어 있다. public으로 선언되면 외부에서 수정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지만 BigInteger는 불변 클래스이므로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2. 불변 클래스 안에 필드들은 서로 공유 가능하다.

불변 클래스 안에 필드들은 당연하게도 절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객체들끼리 필드를 공유하여도 변경되지 않으므로 서로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BigInteger에서 negate() 메서드는 양수이면 음수를, 음수이면 양수로 변환하여 BigInteger 객체를 생성하는 메서드이다. 이때 msg 필드는 배열이기 때문에 서로 공유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BigiInteger는 불변 클래스이기 때문에 msg 배열은 절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새로운 객체와 원래 객체가 같은 배열을 참조해도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3.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객체를 만든다.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 반환되도록 작성한다. 이는 불변 클래스의 유일한 단점인데, 만약 객체를 생성하는 비용이 크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BigInteger의 flipBit() 메서드는 특정 위치의 bit 값을 반대로 변경하는 메서드이다. 만약 BigInteger의 값이 매우 큰 값이어서 bit 배열이 엄청 크다면, 새로운 BigInteger의 값을 생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크기의 bit 배열을 하나 새롭게 만들고, 특정 위치의 bit 값을 변경해주고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bit 배열만큼의 시간과 공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외에 불변 클래스는 단순하며 스레드에 안전하다. 불변 클래스는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값이 혹시 null인지, 비정상 범위의 값인지에 대해서 객체를 생성할 때 미리 검사한다면, 클라이언트는 두려워하지 않고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은 스레드에 안전하다.

 

또한 불변 클래스는 다른 불변 클래스의 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불변 클래스를 작성할 때 기조 불변 클래스에 변경 가능성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다.    

 

 

요약

- 변경 가능한 클래스로 만들 이유가 없다면 불변 클래스로 먼저 만들어 보자.

- 변경 가능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해도, 최대한 변경 가능성을 제한하자.

 

  

 

 

 

 

 

 

 

 

반응형

+ Recent posts